Skip to Main Content

DMP: DMP?

로고

데이터관리계획(DMP, Data Management Plan)은 연구데이터의 수집, 저장, 활용, 공유 등에 대한 계획으로,
우리나라에서는 2019년부터 일부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 신청 시에 1-2페이지의 분량의 DMP 제출이 의무화되었다.

Introduction

데이터관리계획(DMP, Data Management Plan)

DMP는 연구 진행과정과 연구 완료 후에 연구에 활용된 데이터 처리 방법을 기술한 문건으로, 연구데이터의 수집, 저장, 활용, 공유 등에 대한 계획을 포함하고 있음.

<Intro to Data Management Plans by ICPSR>

<사진 출처 : https://joiss.kr/joiss/main.do>

Why Write a DMP?

DMP 작성의 필요성

  • DMP의 핵심은 데이터를 문서화(Documentation)하고 보존하는 것으로 미리 문서화 관련 요소를 결정하고 준비함으로써 향후 연구데이터 제출을 용이하도록 함.
  • DMP를 작성함으로써 연구 과정을 공식화하고 연구자의 의도에 대한 기록을 제공하며, 연구초기에 취약점 확인이 가능하여 연구 진행과정에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과학적 과정에 대한 투명성을 높여줌.
  • 데이터 보존이 잘 이루어지면 미래의 다른 연구자에 의해 해당 데이터가 재사용될 수 있으며, 보존된 데이터는 예상치 못한 새로운 발견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고, 이미 수행된 연구의 중복을 방지할 수 있음.
  • 연구비 지원 기관은 프로젝트 시작 전(자금지원 과제 선택 시 등) DMP를 통해 연구자가 연구에 활용할 데이터에 대한 구체적인 관리 계획과 장기 보존 계획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평가하며, 국내에서도 2019년 9월부터 일부 국가연구개발 과제에 대해 DMP 제출이 의무화 되었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정의) “데이터관리계획”이란 연구데이터의 생산ㆍ보존ㆍ관리 및 공동활용 등에 관한 계획을 말한다.

제7조(연구개발과제의 선정) 데이터관리계획에 따른 연구데이터 생산ㆍ보존ㆍ관리의 충실성 및 공동활용 가능성

test

Research Data

연구데이터(Research Data)의 정의

연구데이터는 연구과정에서 수집, 생산된 모든 정보자원으로써, 연구결과를 복제, 재현, 증명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이며 데이터관리계획(DMP, Data Management Plan)을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 될 수 있다.

 

연구데이터(Research Data)의 종류

구분 정의
실험데이터

실험장비에서 생산되는 데이터로

많은 비용 소요

예) 가속기, 전자형미경

관측데이터

관측장비를 통해 실시간 관측되어

생산되는 데이터

예) 센서, 망원경

시뮬레이션

데이터

모델링을 통해 생산된 데이터

예) 기후 모델링, 경제전망 모델링

파생데이터

원천데이터로부터 재생산된 데이터

예) 텍스트마이닝, 3D모델링

참조데이터

평가를 통해 신뢰성이 공인되어

참조에 사용되는 데이터

예) 유전자배열, 플라즈마물성표준

조사데이터

설문조사 등을 통해 생산된 데이터

예) 연구과제정보, 예측조사